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실리악병 총정리

by ideabank3 2025. 4. 9.
반응형

실리악병(Celiac Disease)은 단순한 소화기 질환이 아닌 자가면역 질환으로, 글루텐에 노출되면 면역 반응이 발생해 소장 내 점막이 손상되고 영양 흡수에 심각한 문제가 생기는 질환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실리악병에 대한 인식이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실리악병의 대표적인 초기 증상과 진단 방법, 그리고 2025년 기준 최신 관리법까지 종합적으로 안내합니다.

내장기관 해부 dna 투명 사진

실리악병 초기증상: 무증상부터 만성 피로까지 다양

실리악병은 ‘위장병’으로 오해하기 쉬우나, 증상이 매우 다양하고 장 외 증상도 많아 오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초기에는 비특이적인 증상만 나타나거나 무증상으로 진행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대표적인 초기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만성 복통 또는 설사
  • 복부 팽만 및 가스
  • 체중 감소 또는 성장 지연 (소아의 경우)
  • 만성 피로, 집중력 저하
  • 빈혈, 철분 흡수 장애
  • 피부 발진 (Dermatitis herpetiformis)
  • 우울감, 불안 증세

이러한 증상들이 단독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조합되어 나타나기도 합니다. 특히 소화기 증상이 없더라도 빈혈이나 골다공증, 불임, 잇몸 질환, 피부 트러블 등을 통해 실리악병이 진단되는 경우도 있어 의심 증상이 있을 경우 조기 검사가 매우 중요합니다.

실리악병 진단 방법: 혈액 검사부터 내시경까지

실리악병 진단은 일반적인 위장 질환보다 다단계로 이루어지며, 자가진단만으로는 어려운 질환입니다. 정확한 의료적 검사와 전문의 진단이 필수입니다.

  1. 혈청 항체 검사
    • 조직 트랜스글루타미나제 항체(tTG-IgA), 엔도미지움 항체(EMA-IgA)를 측정합니다.
    • 이 검사로 1차 스크리닝을 진행하며,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습니다.
  2. HLA 유전자 검사
    • DQ2 또는 DQ8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는지 검사합니다.
    • 해당 유전자가 없다면 실리악병 가능성이 매우 낮습니다.
  3. 소장 내시경 및 조직 검사
    • 소장의 융모가 손상되어 있는지 직접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 진단을 확정하는 가장 중요한 단계로, 위 내시경을 통해 소장 점막을 채취해 검사합니다.

주의: 검사를 받기 전에는 글루텐이 포함된 음식을 계속 섭취하고 있어야 정확한 결과가 나옵니다.

실리악병 관리법: 100% 글루텐프리 식단이 핵심

실리악병은 현재까지 완치약이 없으며, 식이 조절이 유일한 치료법입니다. 치료의 핵심은 글루텐(Gluten)을 완전히 배제한 식단을 평생 유지하는 것입니다.

✅ 글루텐이 포함된 대표적인 식품

  • 밀, 보리, 호밀
  • 일반 빵, 라면, 파스타
  • 튀김 옷, 일부 소스류
  • 맥주, 에일 등의 보리 발효주

✅ 대체 가능한 글루텐프리 식품

  • 쌀, 감자, 고구마
  • 퀴노아, 메밀, 옥수수
  • 글루텐프리 인증 빵, 면류
  • 국내외 글루텐프리 인증 마크 제품

식단 외에도 실리악병 환자는 영양 결핍에 시달릴 수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혈액 검사를 통해 철분, 칼슘, 비타민 B12, 엽산 등을 보충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위장 회복을 위해 프리바이오틱스 및 유산균 보충도 추천됩니다.

실리악병은 흔하지 않지만 무시해서는 안 되는 질병입니다. 초기 증상이 애매해 방치되기 쉬우며, 치료하지 않으면 장기적인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복부 불편, 만성 피로, 철분 결핍 등이 지속될 경우 실리악병을 의심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통해 평생 관리가 필요하지만, 최근에는 글루텐프리 식품과 정보도 많아져 이전보다 훨씬 수월한 관리가 가능합니다. 지금이라도 식단과 증상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건강한 삶을 위한 첫걸음을 시작해보세요.

반응형